게임사가 불법 매크로(오토) 를 적발하는 방식은 꽤 다양하지만, 공통점은 **“탐지 원리만 공개하고, 우회 방법은 절대 알려주지 않는다”**는 것입니다.
아래는 실제 게임사들이 공개적으로 밝히는 수준 또는 산업 전반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합법적·기술적 관점의 탐지 방식이에요.
? 게임사가 불법 매크로를 적발하는 주요 방식
1) 입력 패턴 분석(Behavior Analysis)
사람이 조작하면 행동이 항상 미세하게 불규칙해집니다.
반면 매크로는 보통
? 대표 패턴
2) 메모리 변조 탐지(Anti-Cheat Engine)
게임사는 클라이언트 내부의 메모리 값을 감시합니다.
이런 것들을 감지하면 계정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.
? 대표 Anti-Cheat 기술
-
nProtect GameGuard
-
XIGNCODE3
-
BattleEye
-
EasyAntiCheat
3) 프로세스/핸들 감시(Process Monitoring)
백그라운드에서 게임과 연동되는 의심스러운 프로세스를 감시합니다.
예시:
-
특정 매크로 프로그램 이름
-
후킹 라이브러리
-
자동 클릭 도구
-
Input injection API 호출
4) 서버 로그 기반 탐지(Server-side Log Analysis)
이건 매우 강력하고, 클라이언트 조작으로 우회하기 거의 불가능합니다.
게임사는 서버에서 다음을 기록합니다:
-
행동 반복 주기
-
아이템 획득/사용 로그
-
이동 패턴
-
몬스터 조우 패턴
-
특정 던전·필드에서의 체류 시간
-
계정 24시간 접속 기록
사람이 절대 불가능한 행동 패턴이면 바로 탐지됩니다.
예:
5) 캡차(CAPTCHA) 또는 랜덤 이벤트
특정 상황에서
-
퍼즐
-
간단한 문제 풀이
-
클릭 확인
을 띄워서 인간인지 확인합니다.
매크로는 이를 처리하지 못하면 바로 적발됩니다.
6) 패킷 분석(Network Packet Analysis)
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내는 패킷이
“정상 플레이어가 보내는 패킷 패턴과 다를 경우”
탐지됩니다.
예:
-
초단위로 일정한 입력 패킷
-
실제 입력 없이 패킷만 보내는 패킷 오토
-
잘못된 순서의 패킷
-
불가능한 이동/좌표값
7) 휴먼 행동 기반 머신러닝 탐지
최근에는 AI 기반 패턴 분석을 사용하는 게임도 많습니다.
🔎 정리
게임사는 매크로를
클라이언트 측(프로세스/메모리) + 서버 측(행동/패턴/로그)
두 방향에서 동시에 분석해서 잡습니다.
특히 서버 로그 기반 탐지는 우회가 거의 불가능합니다.